글로벌 부동산 전망 2025년 2월
주요 시장에서 소비자 심리가 위축되고 연간 글로벌 소비 증가세가 미미했음에도 불구하고, 핵심 입지 내 공간에 대한 소매업체 수요는 4분기에도 견조함을 유지했습니다. 2025년 리테일 매출 전망은 긍정적이며, 실질 소득 상승, 견고한 가계 재무 상태, 관광 지출의 지속적 증가에 힘입어 대부분의 주요 시장에서 소비 지출이 더 강하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소매업체 파산이 증가하고 있으나, 공급 가능한 공간이 제한적이고 새롭게 시장에 나오는 공간도 빠르게 흡수되고 있습니다. 아시아 태평양 고성장 및 관광 중심 시장에서도 리테일러의 활동이 건강하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신축 감소와 성숙 시장 내 낮은 공실로 인해 임대 활동이 제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 결과, 최적의 공간을 확보하려는 소매업체 간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더 많은 지역에서 핵심 임대료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래 트렌드: 경험과 기술을 통한 차별화에 주목
단기 전망: 2025년까지 주요 시장 전반에서 글로벌 리테일 매출 성장세가 유지되거나 점진적으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패션, 럭셔리, F&B, 엔터테인먼트 등 핵심 리테일 분야는 탄탄한 기초 여건을 보유한 지역을 겨냥해 다각화 효과를 노리며 확장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중심 업체들도 오프라인 매장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임대 시장은 활발하게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성숙 시장에 공급 가능한 공간이 제한적이어서 우수 입지 내 흡수율이 다소 억제되고, 주요 입지 외 지역 및 관문 도시로 활동이 확장될 수 있습니다.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가 지속되어 주요 브랜드 간 우수 공간 확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장기 전망: 더 많은 리테일러들이 소비자와의 소통과 매장 방문 및 매출 증대를 위해 체험형 리테일과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에는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매장 내 이벤트, 맞춤형 서비스, 독특한 공간 구성, 기술 접목을 통한 상호작용, 그리고 브랜드 정체성이 반영된 디자인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전략은 경험 중심 소비에 대한 수요 증가와 맞물려 리테일러와 임대인 모두가 옴니채널 환경에서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고, 더 강한 관계를 구축하며,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